052D형 구축함은 중화인민공화국 해군의 유도 미사일 구축함으로, 052C형 구축함 설계를 계승하여 외형적으로 유사하다. CODOG 방식으로 디젤 엔진과 가스터빈 엔진을 함께 사용하며, H/LJG-346A형 AESA 레이더를 탑재하여 탐지 능력을 향상시켰다. 64셀의 수직 발사 시스템(VLS)을 갖춰 HHQ-9, YJ-18 등 다양한 미사일을 운용할 수 있다. 2012년부터 건조가 시작되어 현재 30척이 운용 중이며, 비행 갑판이 연장된 052DL형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중화인민공화국의 구축함 - 052C형 구축함 052C형 구축함은 중국 해군 최초로 AESA 레이다와 VLS를 탑재하여 대공 방어 능력을 향상시킨 미사일 구축함으로, 총 6척이 건조되었다.
중화인민공화국의 구축함 - 051C형 구축함 051C형 구축함은 중국 해군이 자국산 구축함의 한계를 극복하고 기술적 불확실성을 보완하기 위해 러시아제 S-300F 함대공 미사일 시스템을 탑재하여 건조한 2척의 구축함으로, 2006년과 2007년에 각각 취역하여 북해 함대에 배치되었다.
구축함 함급 - 플레처급 구축함 플레처급 구축함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국 해군이 운용한 함급으로, 혁신적인 설계와 강력한 성능으로 태평양 전쟁에서 연합군의 승리에 기여했다.
구축함 함급 - 마야급 구축함 마야급 구축함은 해상자위대의 이지스 구축함으로, 아타고급 설계를 기반으로 전기 추진 시스템을 사용하며, SM-3, SM-6 미사일 운용이 가능하고 탄도 미사일 방어 능력을 갖추고 있다.
HHQ-9 함대공 미사일 YJ-18 함대함 미사일 CJ-10 육상 공격 순항 미사일 CY-5 대잠 미사일
근접 방어 시스템 (CIWS)
730형 CIWS
항공
헬리콥터
헬리콥터
항공 시설
격납고 착륙 패드
일반 정보
별칭
쿤밍급 구축함 052D형 구축함 루양 III급
2. 설계
(HHQ-9B, HHQ-16B, YJ-18, CJ-10, Yu-8)
5860-2006형 VLS × 64셀 (HHQ-9, CY-5, YJ-18)
VLS × 48셀 (HHQ-9A)
B-203A형 VLS × 48셀 (리프-M)
단장 발사기 × 2기 (9M317)
HHQ-10 24연장 발사기 × 1기
YJ-62 4연장 발사관 × 2기
YJ-83 4연장 발사관 × 2기
YJ-83 4연장 발사관 × 4기
어뢰
3연장 단어뢰 발사관 × 2기 (Yu-7)
함재기
Z-18 × 2기
Z-9C/Ka-28 × 1기
헬리콥터 갑판만
Z-9C/Ka-28 × 1기
동형함 수
8척
25척
6척
2척
2척
2. 1. 선체
설계 면에서는 많은 부분에서 선행하는 052C형(란저우급)을 계승했으며, 외형적으로도 유사점이 많다. 선체 형태는 동일한 중앙 선루형이며, 주력 센서인 위상 배열 레이더의 고정식 안테나 4면을 장착하기 위해 거대한 함교 구조물을 갖춘 점도 같다. 다만 스텔스 성능 강화를 위해 상부 구조물에는 경사를 주고 높이를 다소 낮췄으며, 함내에 탑재된 소형 보트의 수납 장치도 함체 안으로 들였다. 또한, 굴뚝에는 배기 가스의 적외선 방출을 억제하는 장비가 설치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주기관은 052C형과 동일한 CODOG 방식으로, 디젤 엔진 2기와 가스터빈 엔진 2기로 2축의 프로펠러를 구동한다. 순항 시에는 MTU 프리드리히스하펜에서 제작한 MTU 20V956 TB92 V형 20기통 디젤 엔진을 사용한다. 고속 항해 시 사용되는 가스터빈 엔진은 우크라이나의 조랴-마슈프로에크트 사가 개발한 UGT-25000을 중국에서 복제 생산한 QC-280으로 알려져 있다. 우크라이나제 UGT-25000(DA80)은 052A형 구축함(뤼후형) 2번함 "칭다오"에 도입된 이후 중국 수상 전투함의 주력 가스터빈 엔진으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QC-280 엔진은 052B형 구축함(광저우급) 2번함 "우한"에 탑재된 기존 DN80 엔진 중 하나를 교체하여 실용 시험을 거쳤으며, 소말리아 해역 파견 임무를 포함한 다양한 환경에서 안정성과 신뢰성을 입증했다고 한다.
추진 시스템은 2기의 QC-280 가스터빈과 2기의 디젤 엔진을 갖춘 디젤 또는 가스 결합(CODOG) 방식이다.[3] 순항 시에는 MTU 프리드리히스하펜 사의 MTU 20V956 TB92 V형 20기통 디젤 엔진 2기를 사용하고, 고속 항해 시에는 QC-280 가스터빈 엔진 2기를 사용한다.
QC-280 가스터빈 엔진은 우크라이나의 조랴-마슈프로에크트 사가 개발한 UGT-25000을 중국에서 복제 생산(산자이)한 QC-280으로 알려져 있다. 우크라이나제 UGT-25000(DA80)은 052A형 구축함 2번함 "칭다오"부터 도입되어 중국 수상 전투함의 주력 가스터빈 엔진으로 사용되어 왔다. 중국산 QC-280은 052B형 구축함 2번함 "우한"에 시험 탑재되어 소말리아 해역 파견 임무 등을 통해 다양한 환경에서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검증받았다.
이 추진 시스템은 2개의 추진축을 구동하여 최대 30kn의 속력을 낼 수 있다.[3] 또한 스텔스 성능 강화를 위해 굴뚝에는 배기 적외선 방출을 줄이는 장치가 설치되었다.
2. 3. 연장형 (052DL형)
기존 052D형 구축함에서 운용하던 함재 헬리콥터인 Z-9C나 러시아제 Ka-28은 탑재량과 항속 거리 등 성능에 제약이 있었다. 이에 따라 더 크고 성능이 좋은 Z-20 헬리콥터의 운용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이를 위해 선체를 연장한 개량형이 개발되었다.
'''052DL형'''은 이러한 배경에서 등장한 052D형의 연장형으로, 일반적으로 그리고 비공식적으로 불리는 명칭이다. 가장 큰 특징은 헬리콥터 갑판의 길이가 4m 연장된 것이다.[15] 이는 Z-20 헬리콥터 운용을 위한 공간 확보 목적이며[15], 052D형의 25번함 이후부터 선체를 연장하여 격납고와 헬리콥터 갑판을 확장한 형태로 이행하였다.
052DL형의 건조는 2016년경 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16], 2018년 7월에는 군사 전문 매체 Jane's 360이 위성 사진 분석을 통해 장난 조선소에서 건조 중이던 14번함의 헬리콥터 갑판이 확장되어 전장이 기존함보다 약 4m 길어졌다고 보도하기도 했다.[50] 첫 번째 052DL형 함선인 ''쯔보''는 2018년에 진수되어 2020년에 취역했으며, 이후 연간 3~4척의 속도로 건조가 계속되고 있다.[16][17]
3. 주요 작전 시스템
052D형 구축함은 이전 함정에 비해 개선된 주요 작전 시스템을 탑재했다. 중국 해군은 052C형 및 항공모함 랴오닝에 탑재된 346형 레이더를 통해 위상 배열 레이더 방식을 운용했으나, 발열 및 소비 전력 문제가 있었다. 052D형에 장비된 346A형 레이더는 평면 형태의 커버를 채택하여 이러한 문제들이 개선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개량형인 052DL형2017년 8월경, 군사 박물관에서 052형의 새로운 모형이 공개되었다.[43] 초기에는 '''052DG''' 혹은 '''052E'''로도 호칭되었다.에서는 항공 운용 능력 강화와 함께 일부 전자 장비가 변경되었고,[45] 함정 중앙부의 517B형 대공 레이더가 안테나 면적이 넓어진 신형으로 교체되어 스텔스기 탐지 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추정된다.[46]
전술 정보 처리 장치로는 H/ZBJ 해군 편대 작전/전술형 자동화 지휘 시스템(海軍編隊戦役/戦術型自動化指揮系統zho)을 사용하며, 전술 데이터 링크는 서방의 링크 16과 동등한 수준으로 평가받는 JIDS 통합 정보 전달 시스템데이터 링크의 호칭에 대해서는 JSIDLS ('''J'''oint '''S'''ervice '''I'''ntegrated '''D'''ata '''L'''ink '''S'''ystem, 全军综合数据链系统zho)라는 설도 있다.[47]을 탑재한다. 이러한 시스템 구성은 052C형 후기 건조 함정과 유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3. 1. 작전 지휘 시스템
ZJK-5형 C4I 작전지휘시스템을 탑재하여 실시간 탐지 설비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바탕으로 전투 태세를 분석하고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작전 명령을 내리는 것을 보조한다.
중국 해군은 이미 052C형 구축함 및 항공모함 랴오닝에 탑재된 346형 레이더를 통해 위상 배열 레이더 방식을 도입했었다. 하지만 이 레이더는 발열 처리와 소비 전력에 문제가 있어 특수한 방열 장치를 장착하고 곡면 형태의 커버를 사용했다. 이에 비해, 052D형에 장비된 346A형 레이더는 평면 형태의 커버를 채택하고 있어 이러한 문제들이 해결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개량형인 052DL형에서는[43][44] 항공 운용 능력이 강화되었고 전자 장비의 일부도 변경되었다.[45] 함정 중앙부에 탑재되었던 517B형 대공 레이더는 안테나 면적이 더 넓어진 신형 대공 레이더로 교체되었는데, 이를 통해 스텔스기에 대한 탐지 능력이 향상되었을 것으로 추측된다.[46]
전술 정보 처리 장치는 H/ZBJ 해군 편대 작전/전술형 자동화 지휘 시스템(海軍編隊戦役/戦術型自動化指揮系統중국어)을 사용하며, 전술 데이터 링크는 서방의 링크 16과 동등한 수준으로 평가받는 JIDS 통합 정보 전달 시스템(일설에는 JSIDLS 全军综合数据链系统중국어)[47][48]을 사용한다. 이러한 시스템 구성은 052C형 후기 건조 함정과 유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3. 2. 통신 시스템
최신형 합동 군사 통합 데이터 링크 시스템(JSIDLS)을 탑재하고 있으며, 이는 미군의 링크 16이나 러시아의 AT-2M과 동등한 수준의 시스템으로 평가된다.[14] 052D형 구축함은 JSIDLS 외에도 해군 공통 전술 데이터 링크(NCTDL)를 운용할 수 있다. JSIDLS는 링크 16과 동등한 성능을 가지며, 2012년 6월에 인증되었다. NCTDL은 전자 광학 및 레이저 포드를 탑재한 무인 항공기 운용을 지원하는 차세대 양방향 암호화 데이터 링크로, 기존의 HN-900 시스템을 대체한다.[14]
전술 정보 처리 장치로는 H/ZBJ 해군 편대 작전/전술형 자동화 지휘 시스템(海軍編隊戰役/戰術型自動化指揮系統중국어)을 사용하며, 전술 데이터 링크는 서방의 링크 16과 동등한 수준으로 평가받는 JIDS 통합 정보 전달 시스템을 탑재한다. 데이터 링크의 정식 명칭에 대해서는 JSIDLS(Joint Service Integrated Data Link System영어, 全軍綜合數據鏈系統중국어)라는 설도 있다.[47][48] 이러한 시스템 구성은 052C형 후기 건조 함정과 유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3. 3. 탐지 설비
052D형 구축함은 4개의 패널로 구성된 346A형[10](나토 보고명: Dragon Eye) 능동 전자 주사식 위상 배열(AESA) 레이더 시스템을 장착하고 있다. 이는 052C형 구축함에 장착된 H/LJG-346 레이더보다 탐지 능력과 노이즈 억제 능력이 향상되었다. 중국 언론은 052D형을 비공식적으로 '''중국 이지스'''(中华神盾zho)라고 부르며, 미국 해군의 이지스 전투 시스템을 장착한 동시대 함정과 동등한 수준으로 묘사하기도 한다.[9] 평판형 레이더와 캐니스터형 수직 발사 시스템을 갖춘 외관 때문에 이러한 별칭이 붙었다.[7]
기존 052C형 및 항공모함 랴오닝에 탑재된 346형 레이더는 위상 배열 레이더 기술을 적용했지만, 발열 처리와 소비 전력 문제로 인해 특수한 방열 장치와 곡면 형태의 커버를 사용했다. 반면 052D형의 346A형 레이더는 평면 형태의 커버를 채택하여 이러한 문제들이 개선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또한 052D형은 518형 L대역 레이더를 장착하고 있다.[11] 그 외 탑재된 주요 탐지 설비는 다음과 같다.
구분
명칭
비고
AESA 레이더
H/LJG-346A형
4면 고정식, 052C형 대비 성능 향상
장거리 탐지 레이더
H/LJQ-366형
L대역 레이더
518형
[11]
화력 통제 레이더
H/LJP-349형
AESA 화력 통제 레이더
H/LJP-344A형
저공 탐지 레이더
H/LJQ-364형
초계 레이더
H/LJQ-517B형
052DL형에서 신형 레이더로 교체 추정[46]
소나
H/SJD-9형
함수 소나
소나
가변 심도 소나 (VDS)
선미 격납, 유압식 전개[12]
소나
선형 예인 배열 소나
[12]
052D형 구축함은 함수 소나 외에도 가변 심도 소나(VDS)와 선형 예인 배열 소나를 모두 갖추고 있다. VDS는 유압 리프팅 메커니즘에 의해 선미의 경첩 개구부를 통해 전개된다. VDS 본체는 견인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Y자형 유체역학적 날개가 장착된 유선형 구조물이다.[12]
개량형인 052DL형에서는 항공 운용 능력 강화와 더불어 전자 장비 일부가 변경되었다.[45] 함정 중앙부에 탑재되었던 517B형 대공 레이더가 안테나 면적이 넓어진 신형 대공 레이더로 교체되어, 스텔스기 탐지 능력이 향상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46]
전술 정보 처리 장치로는 H/ZBJ 해군 편대 작전/전술형 자동화 지휘 시스템(海軍編隊戦役/戦術型自動化指揮系統zho)을 탑재하며, 전술 데이터 링크는 서방의 링크 16과 유사한 JIDS 통합 정보 전달 시스템(JSIDLS, 全军综合数据链系统zho[47][48]이라는 설도 있음)을 사용한다. 이는 052C형 후기 건조 함정과 유사한 구성으로 알려졌다.
4. 무장
052D형 구축함은 이전 함급에 비해 향상된 무장 체계를 탑재하고 있다. 핵심 무장으로는 캐니스터 기반의 범용 수직 발사 시스템(VLS) 64셀, 신형 130mm 주포, 그리고 30mm 근접 방어 무기 체계(CIWS)와 HHQ-10 미사일 발사기의 조합 등이 있다.[8][7][3] VLS는 HHQ-9 함대공 미사일, YJ-18 대함 순항 미사일,[6] CJ-10 지상 공격 순항 미사일,[5] 그리고 CY-5 대잠 미사일을 발사할 수 있다.[12]
아래는 052D형 구축함과 다른 중국 해군 주요 전투함 및 개수된 구형함과의 제원 및 무장 비교표이다.
052D형은 주포로 신형 H/PJ-45 70구경 130mm 단장포 1기를 탑재한다.[7] 이는 이전 함급인 052C형의 55구경 100mm 단장 속사포(H/PJ-87)를 대체한 것이다. H/PJ-45 함포는 정저우 713연구소에서 개발했으며, 러시아의 AK-130 연장포 기술이 일부 도입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함포는 분장식, 전체식, 차구경 유도 포탄 등 다양한 종류의 포탄을 발사할 수 있다.
4. 2. 미사일 수직 발사 시스템(VLS)
052D형 구축함은 이전 함선에 탑재된 동심원 타입 수직 발사 시스템(VLS)과 달리 캐니스터 기반의 범용 VLS를 사용하는 최초의 중국 해군 전투함이다. 총 64셀의 발사관이 탑재되며, 32셀은 함교 구조물 앞부분에, 나머지 32셀은 헬기 격납고 앞부분에 위치한다.[8] 이 VLS는 함대공, 함대함, 함대지, 대잠수함 미사일 등 다양한 종류의 미사일을 동일한 발사 시스템으로 운용할 수 있어 작전 유형에 따라 탑재 미사일을 최적화할 수 있는 유연성을 제공한다.
탑재된 VLS는 중국의 국가 군용 표준인 GJB 5860-2006을 구현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13] 이는 054A형 호위함에 탑재된 VLS를 발전시킨 형태이다. GJB 5860-2006 표준은 대형(전장 9000mm), 중형(전장 7000mm), 소형(전장 3000mm) 세 가지 모듈 크기를 규정하며, 각 모듈의 직경은 850mm이다. 이는 미국 해군의 표준 VLS인 Mk 41(모듈 길이 7.6m)보다 더 큰 미사일을 수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49] 일부에서는 외형과 크기가 미국 해군의 Mk 41 VLS 및 개발 중인 Mk 57 VLS와 유사하다는 평가도 있다.
052D형의 VLS는 사거리가 연장된 HHQ-9 함대공 미사일, YJ-18 대함 순항 미사일,[6] CJ-10 지상 공격 순항 미사일,[5] 그리고 CY-5 대잠 미사일[12] 등 다양한 미사일의 운용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대공 방어뿐만 아니라 장거리 함대함 공격, 대잠 작전, 지상 목표 타격 등 다목적 임무 수행 능력을 갖추었다.
4. 3. 근접 방어 무기 체계(CIWS)
052D형 구축함의 근접방어무기체계 (CIWS)는 052C형 구축함과 같은 30mm 구경의 730형(H/PJ-12)를 기반으로 한다. 초기 자료에서는 7연장 730식 CIWS[3]가 언급되기도 했다. 함선 전방에는 이 30mm CIWS 1기가 설치되고, 후방 상부 구조물 위에는 CIWS 대신 HHQ-10 근접 방공 미사일 24연장 발사기 1기가 설치되어 단거리 대공 방어 능력을 보강한다. 이는 전후방 모두 730식 CIWS 2기를 탑재했던 052C형과의 주요 차이점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